효과적인 수자원 관리

발행일 발행호수 2525
글자 크기 조절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신앙신보 사진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이다. 물 부족 국가로 낙인찍힌 우리나라가 수자원 관리에 대하여 무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는 홍수 때문에 난리가 났고, 지난해는 가뭄 때문에 난리가 났다. 비가 온다고 하여도 적시에 오지 않아 올해도 가뭄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임시방편의 처방가지고서는 이를 해결할 수 없으며 근본적인 대책이 세워져야 한다.

정부에서 해마다 임시방편으로 홍수방지책으로는 저류시설, 제방 건설, 수로확장 등을 가뭄대책으로는 하수 활용, 방류 최소화, 용수 절감, 양수 저류, 저수지 준설 등을 내놓지만 별 소득이 없다. 앞으로 국지적으로 비가 폭포수같이 내릴 경우를 대비하여 저지대보다는 고지대에 주택을 짓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가 다음의 세 가지 방안만이라도 고민하고 중지를 모은다면 연례행사처럼 되어버린 홍수와 가뭄 소동은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고 본다.

첫째, 연중 내리는 특히 여름에 장대같이 쏟아지는 비를 그냥 바다로 흘러내려 보낼 게 아니라, 우리나라의 지형지물(地形地物)을 이용하여 물을 잘 저장하여 필요시에 사용하면 다용도로 활용가치가 있다. 골짜기를 이용하여 소형 수력발전 댐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 수력발전 댐은 원자력발전이 설 자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좋은 대처방안이기도 하다. 산지가 70% 이상인 나라에서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도 우둔한 일이다. 골짜기에 지어진 댐들을 장마철이나 우기 시에는 홍수를 막는 물의 저장고로 사용하고 가뭄 시에는 농업용수로 활용하면 가뭄도 어느 정도 해갈 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방책이다. 물론 환경론자의 반발이 있을 수 있으나 환경도 보호하고 인간의 삶이 피폐해지지 않는 공존공생의 방안을 연구하면 될 것이다.

둘째, 해수 담수화를 본격화하여 물 부족을 해결해야 한다. 지구의 70%가 물이지만 그 가운데 98%는 바닷물이다. 사우디아라비아나 쿠웨이트 같은 국가들은 물 부족 국가로 일찍이 우리나라 기업들의 도움으로 해수 담수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수 담수화 기술에 있어 세계 최고를 달리고 있다. 이스라엘은 2011년도에 이미 연간 생활용수의 40%를 해수담수로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닷물을 담수화하여 이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하다. 비용이 많이 들면 저비용 방향으로 기술개발을 서두르면 될 것이다. 현재 담수화에 사용되는 바닷물은 무한대로 공짜이다.

마지막으로 홍수와 가뭄을 관리할 통합수자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번 청주의 경우 시간당 90mm 비가 내려 우량저수시설도 무용지물이 되어버렸다. 지형적 특성을 배려한 배수로 시설, 빗물저장 시설 등도 좀 더 과학적으로 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고되어야 한다.

또한 다목적 댐을 많이 건설하여 홍수조절도 하고 가뭄 시에는 어느 지역이 어느 시기에 얼마만큼의 용수가 필요한지 이를 데이터화하여 필요시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대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을 몇 권역으로 묶어서 그 권역 내에서 송수도관로를 서로 연결하여 지리적으로 물이 다소 풍부한 지역과 부족한 지역을 연결하여 부족한 지역에 풍부한 지역의 물을 공급하여 가뭄 해소와 해갈을 돕도록 하여야 한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관련 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