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의 멸종이 지구 생태계를 변화시킨다?!

발행일 발행호수 2610
글자 크기 조절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꽃가루 옮겨 식물을 수정시키는
꿀벌 사라지면 식량난 올 수도

올봄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이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올해 3월 양봉협회 소속 농가를 대상으로 꿀벌 실종피해를 조사한 결과 최소 77억8090만 마리 이상의 꿀벌이 사라졌다고 한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

◇ 전세계적으로 꿀벌 개체수 급감

꿀벌 개체수 감소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2017년 유엔 발표에 따르면 현재 지구촌 야생벌 2만종 가운데 40%인 8,000종이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지난 2006년부터 꿀벌 수가 감소하기 시작해 현재 미국 내 꿀벌의 40%가 넘는 수가 사라졌다. 유럽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도 해마다 꿀벌이 30~40%가 사라지고 있다.

꿀벌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군집붕괴현상’ 때문이다. ‘군집붕괴현상’이란 꿀과 꽃가루를 운반하러 나갔던 일벌이 둥지로 돌아오지 못하거나 갑작스레 일벌과 유충들이 다수 죽어버리면서 벌집이 통째로 몰살되는 것이다. 이 현상의 원인으로 △전자기파로 인해 벌이 길을 잃는 현상 △지구온난화 등 이상 기후로 인한 폐사 △농약 등 화학물질 △낭충봉아부패병 등 꿀벌 전염병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 우리나라 꿀벌 실종 현상은 변덕스러운 날씨 탓으로 추정된다. 11~12월의 따뜻한 기온 때문에 월동을 해야 할 벌들이 외부로 나가 채집 활동을 하면서 체력을 소진해 밖으로 나갔다가 돌아오지 못해 폐사했다는 것이다. 또한 꿀벌에 기생하는 해충도 전국적으로 발생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과학자들은 이대로 꿀벌이 멸종하면 지구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자.

◇ 지구 생태계의 대들보 ‘꿀벌’

꿀벌은 지구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꿀과 꽃가루를 얻기 위해 꿀벌들이 꽃 속으로 드나들면서 꽃가루를 퍼뜨린다. 이로 인해 식물이 수정되고 번성하여 새와 동물들의 먹이가 된다. 인간 역시 곡식, 과일, 야채 등 주 식량원뿐만 아니라 약품 원료, 의복 건축자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식물을 이용하고 있다. 사실상 지구 생태계의 대들보 역할을 꿀벌이 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기에 꿀벌의 멸종은 지구에 큰 재앙이다.

2015년 하버드 공중보건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꿀벌이 100% 사라지면 전세계적으로 과일과 견과류 생산량의 22.9%, 채소 생산량의 16.3%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식량난과 영양부족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기아로 사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곡식과 채소를 사료로 먹는 가축들의 수도 감소하기 때문에 낙농제품, 육류 등 식품군 전체에도 큰 영향을 미쳐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 꿀벌 개체수 보존 위한 움직임

꿀벌의 멸종을 막기 위해 세계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 1월 유럽연합(EU)의 집행위원회는 살충제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일종인 ‘티아클로프리드’를 EU시장에서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은 꿀벌 정자의 건강을 떨어뜨려 생식을 방해하고 기억력 및 위치파악 능력에 현저한 저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은 낭충봉아부패병에 강한 새 토종꿀벌 품종 개발을 마치고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새로 개발한 품종의 꿀벌은 질병에도 강하고, 다른 꿀벌에 전염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 외에도 꿀벌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생태농업 복원을 통해 꿀벌의 수분력을 보존하고,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등 꿀벌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을 계속해서 모색해야 할 것이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관련 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