物價 전쟁
우리나라의 물가 역사를 보면 그 상승폭이 살인적이라 할 만 하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에는 소비자물가가 연간 58%까지 뛰었고 6ㆍ25 전쟁이 발발한 1950년에는 168%까지 치솟았는가 하면 전쟁으로 폐허가 된 이듬해 물가는 390% 이상 폭등했다. 1955년 원달러 환율이 세 배 가까이 뛰면서 다시 물가는 68%까지 올랐다. 1961년 군사정권 시대에는 물가가 잠시 한 자릿수에 머물다가 1963년에는 21%, 1964년에는 30%까지 올랐고 1차 석유파동이 온 1974년과 1975년에는 평균 25%씩 뛰었다. 2차 석유파동이 닥친 1979~1981년 사이에도 연평균 23%씩 물가가 급등했다. 그 이후 1990년대 말 이후에는 한 자리 수의 안정세를 보이다가 최근 몇 년간은 물가 오름폭이 4% 대에 머물고 있다.
최근에도 물가 불안이 또다시 서민경제를 옥죄고 있다. 지난달까지 소비자물가 지수는 6개월 연속 4%대 상승세를 기록했고, 특히 장맛비로 채소값이 한달 새 최고 5배로 뛰었다. 가공식품·삼겹살 등도 2배 이상 올랐다. 여기다 휘발유값이 단숨에 ℓ당 2000원을 웃돌았다. 8월 중에는 전기요금도 오른다고 한다. 물가 문제가 심각한 것은 물가가 서민생활과 직결돼 있는데다가 그 시대 정국과 경제정책 더 나아가서는 국가체제의 우열을 나타내는 바로미터 구실을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신앙촌에 있는 수퍼마켓에서는 최고의 품질을 기준으로 각종 식품과 공산품을 비롯한 생필품 일체를 영구적으로 시세보다 40% 이상 싸게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렇게 하여 생기는 손실은 신앙촌의 각 기업의 이윤에서 보전해 준다. 이렇게 되면 어떤 체제와 이념, 어떤 정부도 해결하지 못한 물가 문제 해결의 ‘종결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 그것은 단순한 물가 문제 뿐만 아니라 양극화나 빈부 문제 같은 사회의 근원적 문제 해결의 시발점이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