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보다 더 위험한 가짜뉴스 주의보

발행일 발행호수 2584
글자 크기 조절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인한 혼란과 불안을 틈타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가 기승이다.

신도들 입에 소금물을 분무하여 70여 명의 집단감염을 발생시킨 국내 어느 교회 목사는 소금물이 코로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가짜뉴스를 믿었다. 이란에서는 공업용 알코올인 메탄올이 전염병을 막는다는 헛소문이 돌아 40여 명이 메탄올을 마시고 숨졌다. 유럽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5G(5세대 이동통신 기술) 기지국에서 나오는 주파수를 타고 확산된다’는 소문이 소셜미디어에 유포되면서, 5G기지국에 불을 지르는 방화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인포데믹(infordemic)’을 우려하고 있다. 인포데믹은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의 합성어로 잘못된 정보가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져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통칭 ‘가짜뉴스’라 불리는 잘못된 정보들은 시민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고 비이성적인 행동을 유발시켜 사회를 혼란에 빠뜨린다.

게다가 요즘 가짜뉴스들은 단순히‘이렇다더라’식의 뜬소문에 불과한 수준을 넘어, 더욱 교묘하게 날조된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배포한다. 문제는 이런 가짜뉴스들이 신문, 뉴스 등 언론 매체는 물론 커뮤니티, SNS 등 비공식 매체를 통해서도 확산된다는 점이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지인의 SNS에서 가짜뉴스를 접하고 다른 누군가에게 공유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가짜뉴스를 막기 위한 법이 시행되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는 각각 ‘소셜네트워크상의 법집행 개선에 관한 법률’과 ‘정보조작에 대한 투쟁법안’을 만들었고, 싱가포르에서는 지난해 10월부터 가짜뉴스를 유포한 개인에게 최대 징역 5년을 선고할 수 있는 ‘허위조작정보법’이 시행되었다. 우리나라도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1월 ‘2020년 업무계획’중 하나로 불법 유해정보의 유통을 근절하고 팩트체크를 활성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법률 규제도 고려해야하지만 우선적으로 언론이 윤리적인 책임을 다해야 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017년 대한민국에서 활동 중인 방송 매체가 423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또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정기간행물은 620개 일간과 8,171개 인터넷 신문을 포함해 20,630곳에 이른다. 이렇게 많은 언론사에서 대량생산되는 뉴스를 소비자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지난해 영국의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에서는 디지털뉴스 관련 연례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38개 나라의 뉴스소비자를 상대로 조사를 했는데, 우리나라 뉴스 소비자 2천 명을 상대로 표본조사를 한 결과, 한국 언론 신뢰도가 22%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38개 나라 가운데 최하위였다. 허위 거짓 정보의 광범위한 유통이 뉴스 소비자들의 언론에 대한 신뢰도를 바닥으로 추락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언론사들은 정보의 팩트 체크를 강화하고, 사실에 대한 교차검증을 엄격히 하는 등 보다 철저한 검토 시스템을 갖추는 일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보 수용자 개개인의 ‘비판적 읽기’가 중요하다. 정보의 출처를 확인하고, 전문가의 공신력 있는 발언인지를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또 정보의 관점이 왜곡되어 있는지, 혐오 표현이나 부정확한 정보가 담겨있는지 확인해서 가짜 뉴스를 공유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사는 뉴스 소비자들에게 가능한 한 스스로 정보를 검증해보는 습관은 무분별한 정보의 범람을 막는 든든한 제방이 될 것이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관련 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