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종간 바이러스 출현은 기후변화가 원인?!

발행일 발행호수 2612
글자 크기 조절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포유류 종간 바이러스 전파 네크워크 /출처=네이처

기후변화로 아프리카·아시아서
신규 감염병 위험 증가
앞으로 50년간 포유류 내 전염
사례 1만5000건 발생 예측

기후변화로 인해 동물들의 서식지 이동이 늘어나면서 향후 50년간 새로운 종간 바이러스 전파가 1만 5천 건 이상 발생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스·메르스·코로나19 등 신규 감염병이 바이러스의 종간 전파를 통해 발생했음을 고려했을 때, 기후변화에 의해 종간 바이러스 대유행 확률이 크게 높아질 가능성을 제기한 연구여서 주목된다.

미국 조지타운대의 콜린 칼슨 박사 연구팀은 기후 변화가 야생동물 서식지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서식지 이동이 종 사이의 접촉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폈다. 종간 접촉이 증가할수록 병원체를 교환할 가능성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여러 기후 시나리오에 따라 포유류의 서식지 이동 과정을 분석했다. 또 포유류 바이러스 공유 양상 모델(프로그램)을 사용해 포유류 종간 바이러스 전파 확률을 구했다. 그 결과 2070년까지 1만 5천 건 이상의 새로운 종간 바이러스 공유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고도가 높은 곳, 생물 다양성이 높은 곳, 동남아시아와 열대 아프리카의 인구밀도가 높은 곳 등에서 많은 종간 전파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중에서도 박쥐는 체내의 바이러스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 인간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높은 바이러스의 은신처가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또한 박쥐는 비행 능력까지 있어서 종간 바이러스 전파의 허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내용의 연구팀 논문은 4월 28일(현지 시각) 과학 저널 <네이처>지에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현재 최소한 1만 종 이상의 바이러스가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대다수는 야생 포유류에만 잠재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서식지 변화는 이전에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던 야생동물 사이에 바이러스 공유 기회를 높일 수 있다.

기후변화로 온도가 높아지면 많은 동물 종들이 기생충이나 병원균을 지닌 채 새로운 환경으로 내몰리고, 이전에 상호작용이 없던 종 사이에 접점이 생기면서 바이러스를 공유하기가 수월해진다. 이런 환경은 동물 매개 감염의 종간 장벽을 뛰어넘게 만들기 때문에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의 병원균 전파까지 쉽게 만드는 것이다.

연구진은 기후변화가 상당히 진행된 미래뿐 아니라 산업혁명 시기 대비 1.2℃ 정도 기온이 상승한 현재 시점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는 중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이들이 지난 2020년 연구를 완료한 지 몇 주 만에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해 연구팀의 연구 방향이 맞아들어가고 있음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연구는 기후변화가 바이러스 종간 전파에서 주도적인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전파되는 것을 감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야생동물 종간 바이러스 전파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해주세요.
인쇄하기
북마크추가
관련 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