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종교 칼럼&기사 Review] 바티칸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Der Vatikan hat nichts gelernt)
해외 종교 칼럼&기사 Review
본 코너, 해외 종교 칼럼&기사 Review 에서는 한국에 소개되지 않은 해외 종교 칼럼과 기사를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1. 2023년 12월 10일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에 게재된 칼럼 ‘바티칸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를 독일어 원문과 함께 실었습니다.
2. 위 칼럼을 인용한 기사와 관련 자료들을 실었습니다.
※지면 관계상 이번 호『세계 종교 탐구』는 쉽니다. 독자분들의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Mit dem Staat Israel tat sich der Vatikan schon immer schwer. Papst Franziskus macht es nicht besser. Im Gegenteil. Die Folgen sind fatal.
Achtzig Jahre nach dem Holocaust belastet das Schweigen eines Papstes das Verhältnis zwischen Israel und dem Vatikan. Und dieser Papst heißt nicht Pius XII. Er heißt Franziskus. Seit dem Überfall der Hamas auf Israel vermeidet es das Oberhaupt der katholischen Kirche konsequent, klar zwischen Aggressor und Opfer zu unterscheiden.
Stattdessen prangert der Papst pauschal „Terrorismus“ im Nahostkonflikt an und meint damit offenbar vor allem die israelische Seite. Den Lateinischen Patriarchen von Jerusalem –den obersten katholischen Repräsentanten in Israel – ließ Franziskus unwidersprochen eine Stellungnahme christlicher Kirchen unterzeichnen, die einseitig Israel die Schuld an der Eskalation des Konflikts zuweist. Alle israelischen Proteste dagegen perlten am Papst ab.
Israels Recht auf Selbstverteidigung hat Franziskus, der ohnehin mit der katholischen Lehre vom gerechten Krieg fremdelt, wenige Tage nach dem Überfall nur einmal in einem Nebensatz erwähnt. Der Vatikan verteidigt die Äußerungen des Papstes mit dem Hinweis, man habe schließlich die Neutralität zu wahren.
Mit diesem Narrativ einer angeblichen Überparteilichkeit hat sich das Leitungsorgan der katholischen Kirche jedoch schon im Ukrainekrieg unglaubwürdig gemacht. Im Fall Israels wiegt die Zweideutigkeit der vatikanischen Position noch schwerer. Denn den historischen Resonanzboden bilden hier der jahrhundertealte christliche Antijudaismus und die unrühmliche Rolle der katholischen Kirche angesichts des Holocausts.
Diplomatische Beziehungen erst 1994
Vom christlichen Antijudaismus hat sich die katholische Kirche vor fünfzig Jahren während desZweiten Vatikanischen Konzils offi ziell losgesagt. Aber das Verhältnis des Vatikans zumJudentum blieb weiterhin von einer Diskrepanz geprägt: Während die religiöse Aussöhnung seitden Sechzigerjahren große Fortschritte machte, tut sich der Vatikan auf politischer Ebene mitdem jüdischen Staat bis heute schwer.
Wäre es allein nach dem Vatikan gegangen, dann gäbe es den Staat Israel überhaupt nicht. AlsTheodor Herzl im Jahr 1904 Papst Pius X. bat, die Ansiedlung von Juden in Palästina zuunterstützen, erhielt der Begründer des Zionismus laut seinem Tagebuch die Antwort, dieJuden hätten Christus nicht als Sohn Gottes anerkannt, „aus diesem Grund können wir dasjüdische Volk nicht anerkennen“. Vierzig Jahre später, im Sommer 1943, ließ der VatikanWashington mitteilen, Katholiken würden „in ihrem religiösen Stolz verletzt“, wenn Palästina injüdische Hand falle.
Vor der Abstimmung über die Teilung Palästinas in einen jüdischen und einen arabischen Staatin den Vereinten Nationen versuchte der Vatikan 1947, die lateinamerikanischen Staaten zueinem ablehnenden Votum zu bewegen. Nachdem der Vatikan die Gründung des jüdischenStaates nicht hatte verhindern können, verlegte er sich darauf, ihn weitgehend zu ignorieren.Paul VI. besuchte 1964 Israel, ohne das Wort „Israel“ auch nur einmal in den Mund zu nehmen.Es vergingen 36 Jahre, bis sich ein Oberhaupt der katholischen Kirche dazu durchringen konnte,in einem offi ziellen Dokument Israel zum ersten Mal beim Namen zu nennen und dessenExistenzrecht ausdrücklich anzuerkennen. Diesen Schritt tat Johannes Paul II., der in der Nähevon Auschwitz aufgewachsen war.
Ganze 46 Jahre brauchte es schließlich, bis der Vatikan und Israel 1994 diplomatischeBeziehungen aufnahmen. Bis dahin hatte der Vatikan stets politische Argumente gegen eineAnerkennung Israels vorgebracht: den völkerrechtlich ungeklärten Grenzverlauf und den StatusJerusalems – der Vatikan fordert internationale Garantien für einen freien Zugang zu denheiligen Stätten von Christen, Juden und Muslimen.
Die Juden als „ältere Brüder“?
Dazu kamen die Rücksichtnahme auf die christlichen Palästinenser und die prekäre Lage derchristlichen Minderheiten in den arabischen Staaten. Deutlich schneller war der Vatikan, als esum den Staat Palästina ging. Als der Staat Palästina im Jahr 2012 einen Beobachterstatus beiden Vereinten Nationen erhielt, machte der Vatikan sich diesen Begriff unverzüglich zu eigen.
Unter Franziskus schienen sich die Beziehungen zunächst positiv zu entwickeln. Dazu trug seineEntscheidung bei, die Aktenbestände aus dem Pontifi kat Pius’ XII. (1939–1958) für dieForschung freizugeben. Aber nun muss der Papst sich von Israel vorhalten lassen, er habe ausdem Schweigen dieses Papstes angesichts des Holocausts nichts gelernt.
Wie tragfähig dieser historische Vergleich ist, sei dahingestellt. Off enkundig ist jedoch eines:Die strikte Trennung von Religion und Politik durch den Vatikan –die oft sinnvoll und nötig ist –hat im Falle Israels fatale Konsequenzen. Was sind all die hehren Worte von den Juden als„älteren Brüdern“ der Christen wert, wenn der Papst dem einzigen Staat, in dem Juden ohneAnfeindungen leben können, faktisch das Recht auf Selbstverteidigung abspricht?
바티칸은 이스라엘 국가와 늘 어려운 시간을 보내왔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상황을 더 좋게 만들지 않았다. 오히려 그 반대였다. 결과는 치명적이다.
홀로코스트가 발생한 지 80년이 지난 지금, 교황의 침묵이 이스라엘과 바티칸의 관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교황은 비오 12세라고 불리지 않는다. 그의 이름은 프란치스코다.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이후, 가톨릭교회의 수장은 공격자와 피해자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을 일관되게 피해 왔다.
대신 교황은 중동 분쟁에서 ‘테러리즘’을 전면적으로 비난했는데, 이는 주로 이스라엘 측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프란치스코는 이스라엘의 최고 가톨릭 대표자인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에게 분쟁이 확대된 책임을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에게 돌리는 기독교계의 성명서에 서명하게 했다. 이에 대한 이스라엘의 모든 항의는 교황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공격이 있은 며칠 후 프란치스코 교황은 ‘정당한 전쟁’의 가톨릭 교리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인정하며 이스라엘의 자위권에 대해 하위 조항에서 단 한 번만 언급했다. 바티칸은 궁극적으로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들어 교황의 발언을 옹호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이미 가톨릭교회의 지도부는 중립적이라고 주장하는 이 이야기로 신뢰를 잃었다. 이스라엘의 경우 바티칸 입장의 모호성은 더욱 심각하다. 이는 수 세기에 걸친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서 가톨릭교회의 불명예스러운 역할로 인해 역사적 기반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1994년에야 수교
가톨릭교회는 50년 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공식적으로는 기독교의 반유대주의를 포기했다. 하지만 바티칸과 유대교의 관계는 여전히 이와 불일치하는 특징이 있다. 1960년대 이후 종교적 화해가 크게 진전되긴 했지만, 오늘날에도 바티칸은 정치적 차원에서 유대 국가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만약 바티칸만의 결정이었다면 이스라엘 국가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시오니즘의 창시자 테오도르 헤르츨의 일기에 따르면, 1904년 교황 비오 10세에게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이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유대 민족을 인정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40년 후인 1943년 여름, 바티칸은 팔레스타인이 유대인의 손에 넘어가면 가톨릭 신자들은 “종교적 자부심에 큰 상처를 입게 될 것”이라고 워싱턴에 알렸다.<자료1>
1947년 UN에서 팔레스타인을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할하는 안건에 대한 투표가 있기 전, 바티칸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반대투표를 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유대 국가의 건국을 막을 수 없게 되자 바티칸은 이를 대부분 무시했다. 바오로 6세는 1964년 이스라엘을 방문했지만 “이스라엘”이라는 단어를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가톨릭교회의 수장이 이스라엘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고 공식 문서에서 처음으로 이스라엘의 존재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기까지는 36년이 걸렸다. 이 조치는 아우슈비츠 근처에서 자란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취해졌다.
1994년 바티칸과 이스라엘이 외교 관계를 수립하기까지 46년이 걸렸다. 그전까지 바티칸은 국제법상 해결되지 않은 국경 문제와 예루살렘의 지위, 기독교인, 유대인, 무슬림의 성지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국제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정치적 논리를 내세우며 이스라엘 인정에 반대해 왔다.
유대인들이 “형”이라며?
또한 팔레스타인 기독교인들과 아랍 국가 내 기독교 소수 민족의 위태로운 상황에 대한 배려도 있었다. 바티칸은 팔레스타인 국가에 관해서는 훨씬 더 신속히 움직였다. 2012년 팔레스타인이 유엔에서 옵서버(참관자) 자격을 얻었을 때, 바티칸은 이 개념을 즉시 받아들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집권 초기에는 관계가 긍정적으로 발전하는 것처럼 보였다. 연구를 위해 비오 12세(재위: 1939 ~1958) 교황의 문서들을 공개하기로 한 교황의 결정이 이러한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제 교황은 홀로코스트에 직면한 교황의 침묵으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이스라엘의 비난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 역사적 비교가 얼마나 타당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바티칸의 종교와 정치의 엄격한 분리는 종종 합리적이고 필요한 일이지만 이스라엘의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만약 교황이 유대인들의 적대감 없이 살 수 있는 유일한 국가에 대한 자위권을 사실상 부인한다면, 유대인들이 그리스도인들의 “형”이라는 고귀한 말들은 모두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출처: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자료1> 팔레스타인을 유대인에게 넘기지말 것을 미국에 요청하는 교황청의 서한
다음은 미국 워싱턴 주재 교황 대사이자 라오디게아 대주교인 A. G. Cicognani 가 루즈벨트 대통령의 바티칸 특사 M. C. Taylor 에게 보낸 서한입니다.
미국 교황 대사
3339 Massachusetts Avenue, Washington, D.C.
각하, 며칠 전의 대화와 관련하여, 저는 팔레스타인의 상황에 관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각하께서 고려하고 관심 가져주실 것을 요청드리고자 합니다.
교황청은 심각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비(非)아리아인”에 대한 깊은 관심과 우려를 지속적으로 표명해 왔습니다. 이는 슬로바키아에 억류된 유대인 청소년과 유아들의 살해를 막기 위해 취한 최근 조치에서 잘 드러납니다.
최근 교황청의 지원은 유대인 어린이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유럽 국가로부터의 이주는 영국 정부에 의해 허용되었습니다.
교황청은 이 아이들의 복지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지만, 지금 이 시점에서 팔레스타인의 “히브리인의 고향”에 대한 일반적인 문제를 상기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이 문제가 처음 제기된 1917년 이래로 교황청은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고 여러 공식 문서를 통해 이를 반복해 왔습니다.
1919년에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추기경 회의 연설에서 팔레스타인의 유서 깊은 성지 보존을 위해 교황들이 보여준 큰 관심을 언급했습니다. 수년 동안 그들은 이교도들의 손에서 성지를 지키기 위해 희생을 치렀습니다. 이제 그들의 소유가 확보되었으니 이를 보호하고 강화해야 합니다. 팔레스타인에서 이교도들의 세력이 커지면 기념물은 다시 위험에 빠질 것입니다. (A.A.S. Vol. XI, 100페이지).
1921년 6월 13일, 베네딕토 15세는 유대 민족의 어떤 권리도 간섭하고 싶지 않지만, 팔레스타인에 있는 기독교인의 권리도 어떤 식으로든 침해하고 싶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A.A.S. Vol. XIII, 283페이지) 교회의 태도는 1922년 6월 4일 국제 연맹 평의회에 보낸 “보좌관 회고록”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편지에 사본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1922년 3월 6일 자 Gasparri 추기경의 편지 사본도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두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 번째는 성소(예: 성묘교회, 베들레헴 등)에 관한 것입니다. 가톨릭 신자들은 이러한 장소에 관한 특정 권리를 기뻐하며, 정의에 따라 그들의 권리는 인정되고 존중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권리가 존중될 것이라는 거듭된 공식적인 보장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번 전쟁 이후에도 다시 요구될 것입니다.
두 번째 요점은 팔레스타인 자체에 관한 것입니다. 전 세계의 가톨릭 신자들은 구세주의 현존으로 거룩하게 여겨지고 기독교의 요람으로 존경받는 이 나라에 경건하게 헌신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의 대부분이 유대 민족에게 넘어간다면, 이 땅에 대한 가톨릭 신자들의 종교적 자부심에 큰 상처를 입게 될 것입니다. 유대 민족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 가톨릭 신자들이 성지에서 평화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데 방해가 될 것입니다.
한때 팔레스타인에 히브리 민족이 거주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역사상 19세기 전에 떠난 나라로 사람들이 돌아갈 필요성을 입증할 공리는 없습니다.
“히브리인의 고향”을 원한다면 팔레스타인보다 더 적합한 지역을 찾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그곳의 유대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심각하고 새로운 국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의 가톨릭 신자들이 흥분할 것입니다. 그러한 조치는 비아리아인들이 바티칸에서 받아왔고 앞으로도 계속 받을 자선 지원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교황청은 슬퍼할 것이며 당연히 그렇게 할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점에서 각하께서 이 문제에 대한 교황청의 입장을 높이 평가하실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존경의 감정과 모든 좋은 소망을 가지고, 저는 남아 있습니다.
진심을 담아.
(서명) A. G. CICOGNANI.
라오디게아 대주교
교황 대사
<출처: www.jewishvirtuallibrar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