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말씀
신앙체험기
기획
특집
피플&스토리
오피니언
주니어

[해외 종교 칼럼&기사 Review] 바티칸은 또 다른 홀로코스트를 지지하는가?

발행일 발행호수 2636

“바티칸은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 이는 10월 7일 하마스가 유대인을 잔인하게 학살한 것에 대한 바티칸의 입장을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정권의 관계와 비교하는 12월 10일 자 논평의 제목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티칸이 유대인의 생명이 위협받는 것을 가만히 방관하던 것으로만 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보다 더 나쁘다고 경고합니다.

독일의 권위 있는 일간지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웹사이트에 게재된 논평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홀로코스트가 발생한 지 80년이 지난 지금, 교황의 침묵으로 인해 이스라엘과 바티칸의 관계가 긴장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교황은 비오 12세라고 불리지 않습니다. 그의 이름은 프란치스코입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공격 이후, 가톨릭교회의 수장은 공격자와 피해자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을 일관되게 피해 왔습니다.

대신 교황은 중동 분쟁에서 ‘테러리즘’을 전면적으로 비난했는데, 이는 주로 이스라엘 측을 언급한 것으로 보입니다. 프란치스코는 이스라엘의 최고 가톨릭 대표인 예루살렘의 라틴 총대주교가 아무런 이의 제기 없이 기독교 교회의 성명에 서명하도록 했는데, 이는 분쟁이 확대된 것에 대해 일방적으로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논평의 저자인 토마스 얀센(Thomas Jansen)은 바티칸의 최근 성명을 “수 세기에 걸친 기독교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서 가톨릭교회의 불명예스러운 역할”이라는 맥락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것은 냉철한 역사관입니다. 오늘날 진실한 가톨릭 신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역사를 잘 알지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전 세기에 교황들은 예루살렘 정복을 요구했고 그 결과 이슬람교도와 유대인이 학살당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십자군 전쟁의 역사를 잊었나요? 종교재판은 어떻습니까? 가톨릭교회의 명령에 따라 유대인들은 신앙을 포기하도록 고문을 당했고, 신앙에 복귀하면 처벌을 받았습니다. 많은 경우, 산채로 불에 타거나 죽임을 당했습니다.

이는 유럽에서 유대인에 대한 많은 증오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나치 정권하에서 홀로코스트로 이어졌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은 홀로코스트에 대한 교황 비오 12세의 “침묵”을 지적합니다. 그러나 실제 역사는 훨씬 더 심각합니다. 우리가 전에 게재했던 기사 “교황, 바티칸, 홀로코스트”는 교황이 이끄는 가톨릭교회가 아돌프 히틀러를 선출하고 그의 권력을 유지하며 전쟁 후 나치의 탈출을 돕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최근 폭로에 따르면 교황 비오 12세는 히틀러와 비밀리에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갖고 있었습니다.<자료3> 이것은 결코 “침묵”이 아닙니다.

얀센은 또한 유대 국가가 설립된 이후 바티칸이 의미 있는 외교 관계를 수립하지 못했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충격적인 말을 했습니다. “결정이 바티칸에만 달려 있었다면 이스라엘 국가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유대 국가의 주요 지지자인 테오도르 헤르츨(Theodor Herzl)은 1904년 교황 비오 10세(Pope Pius Ⅹ)에게 자신의 주장을 제기했습니다. 헤르츨의 일기에 따르면 교황은 “유대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를 인정할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이 역사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됩니까?

얀센은 이렇게 썼습니다. “40년 후인 1943년 여름, 바티칸은 팔레스타인이 유대인의 손에 넘어갈 경우 가톨릭 신자들이 ‘종교적 자부심에 큰 상처를 입을 것’이라고 워싱턴에 알렸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바티칸은 1947년 UN에서 유대 국가에 반대하는 투표를 하도록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을 설득하려고 했습니다. “바티칸은 유대 국가의 건국을 막을 수 없게 되자 이를 거의 무시했습니다.” 바티칸은 1994년에야 외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 “2012년 팔레스타인 국가가 UN에서 옵서버 자격을 얻었을 때, 바티칸은 즉시 이 개념을 받아들였습니다”.

얀센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습니다. “교황이 유대인들이 적개심 없이 살 수 있는 유일한 국가인 자기 방어권을 사실상 부인한다면 유대인들이 기독교인의 ‘형’이라는 고귀한 말은 모두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것은 진지한 질문입니다.

현대의 해설가가 이 입증된 역사와 오늘날 바티칸의 말과 행동을 이렇게 연결하는 것을 보는 것은 이례적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그 교회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이해할수록, 그러한 연결이 전적으로 근거가 있고 적절하다는 것을 더욱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출처: www.theTrumpet.com>

관련 글 읽기